제목

[칼럼] 선거와 엘리트의 어원이 같은 이유

선거(election)와 엘리트(elite)의 어원이 같다는 것은 재미있다. 선거는 정치엘리트를 뽑아서 먹고 살기 바쁜 국민을 대신해 나라 일을 잘 처리해달라고 위임하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대신한다는 동사다. 국민을 대표하기 때문에 뛰어난 사람’(elite)을 뽑아야 한다. 뛰어나다는 것은 결국 민심을 읽을 줄 알고 국가경영능력을 갖춘 것을 의미한다. 선거는 지도자(guardians)를 감시(guard)하는 제도이기도 하다. 나를 대신해서 일해 줄 사람을 뽑는 일, 지금까지 한 일을 평가하는 일만큼 중요한 일은 없다.

당장 투표율이 걱정이다. 지방선거 투표율은 낮았다. 200248.9%, 200651.6%, 201054.5%였다. 유권자의 무관심이 만들어낸, 초라한 민주주의 성적표다. 우려할 만한 수준이다. 이번에는 달라져야 한다. 선거 불참은 민주시민의 미덕이 아니다. 선거 참여도가 절반 수준에 머문다면, 앞으로 투표하겠다고 신청한 사람에게만 투표권을 주는 신청제로 가자는 논의가 생길 수도 있다. 선거에 불참하면 벌금을 물리는 외국법을 수입해야 할지도 모른다.

선거는 국민이 정치에 참여하는 강력한 수단이다. 원래 공화국이란 법과 공공선(公共善)에 기반을 두고 주권자인 시민들이 만들어낸 정치공동체이다. 시민의 정치 참여는 공화 시민의 주요 미덕이다. 투표는 국민의 의무이자 국민주권의 상징이다.

투표에 적극 참여해야 우리는 세상을 바꿀 수 있다. 선거 한번 잘 치르면 나라가 새로워지고 지역이 바뀐다는 확신을 가져야 한다. 선거는 크든 작든 그 여정(旅程)의 끝은 바로 대한민국의 변화이다. 선거는 변화에의 약속이고 그 실천이다. 투표장에 가지 않고서는 조그마한 변화도 가져올 수 없다. 흔히 선거는 미래에 대한 꿈과 희망으로 유권자의 마음을 사는 것이라고 한다. 투표에 참여해야 미래의 비전과 희망을 찾아 나설 수 있다.

우리는 이제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선거에 임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1995년 경제발전과 민주화를 달성한 국가의 모임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했다. 1997, 2007년 두 차례에 걸쳐 평화적 정권교체를 이루어냄으로써 민주주의 공고화 기준(two-turnover test)을 통과하였다. ‘1987년 헌법성립 후 20년 만에 선진형 민주주의에 진입하였다. 영국 이코노미스트가 2012년 발표한 민주주의지수 평가에서 167개국 중 20위를 차지하여 완전민주주의국가로 분류되었다. 아시아에서는 일본(23), 대만 (35)보다 앞선 다. 이로써 우리는 국민국가 건설, 시장경제 발전, 민주정치 확립이라는 근대화 3대 목표를 달성하였다. 대한민국은 곳곳에 도사린 단점에도 불구하고 장점이 더 많은 나라다. 선거 참여는 한국 민주주의의 심화와 공고화에 기여하는 길이다.

우리나라의 투·개표 등 선거관리 시스템은 세계적인 자랑거리다. 투표 마감 직후부터 전자개표기로 바로 집계되는 투표 결과는 오류가 거의 없다. 그런 선거관리 노하우가 인정받아 우리나라는 작년에 창립된 세계선거기관협의회(A-WEB)의 초대 의장국이 되었다. 특히 이번에 처음 실시된 사전투표제는 가히 그 유례를 찾기 어렵다. 정보통신기술(ICT) 선진국인 대한민국이기에 가능하다. 투표에 불참하면 첨단 시스템도 무용지물이 되고, 예산을 낭비하게 된다.

그 다음은 유권자의 선구안(選球眼, batting eye)’이 중요하다. 후보자를 판단하는 유권자의 명품 선구안이 선거를 변화의 성전(聖戰)으로 이끌 수 있다. 선거에서 정치엘리트를 잘못 뽑으면 그것은 우리에게 바로 재앙이 된다. 선거에 참여하는 것만큼이나 후보자를 제대로 선택하는 것이야말로 선거의 핵심이다.

자질과 능력, 도덕성과 정의감을 가진 훌륭한 지도자를 선택해야 국민이 행복하고 편안하게 살 수 있는 나라와 지역을 만들 수 있다. 결국 일류국가와 일류지도자는 일류국민이 만든다. ‘제대로 된 국민제대로 된 정치엘리트를 선택해야 제대로 된 정치엘리트제대로 된 나라를 만든다. 제대로 된 선택을 게을리 하고서 나중에 후회하고 욕을 하는 것은 비겁하다.

이제라도 선거공보를 찾아 꼼꼼히 살피고 나서 투표장으로 가야 한다. 악덕 전과자, 세금 체납자, 허황된 엉터리 공약을 하는 후보를 과감히 속아낼 줄 알아야 한다. 설령 뽑을 사람이 없다면 차선을 택하자. 적극적인 선거 참여와 명품 선구안이 세상을 바꾼다. 투표장에 가야 하는 이유는 이제 분명해졌다. (중앙SUNDAY 2014년 6월 1일자)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황정근

등록일2015-08-12

조회수1,633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선거법] 권선택대전시장 선거법 사건 상고이유서(서론부분)

상고이유 개진에 앞서결론부터 말씀 드리면, 정치인의 통상적인 사단법인 설립 및 그 활동이 공직선거법상 유사기관 설치 금지 위반으로 인한 부정선거운동죄 내지 사전선거운동죄로, 그 사단법인의 회비 수령이 정치자금법상 정치자금부정수수죄로 평가되어서는 안 됩니다.   공직선거법 제58조 제1항은 선거운동을 공직선거에서 당선되거나 되게 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Date 2016.08.27  by 황정근

[선거법] 기부행위제한위반죄의 '재산상 이익'

‘재산상 이익’과 ‘이익’의 구별   공직선거법 제112조 제1항 소정의 ‘재산상 이익’이란 같은 조항에 규정된 금전·물품에 준하는 것으로서, 사람의 욕망이나 수요를 충족시키는 다양한 이익 중에서 사회일반의 상식과 관행 및 당사자 사이의 관계 등에 비추어 볼 때 사회적 의례의 범위를 넘어 사람의 재산적인 욕망이나 수요를 충족시키는 유형적 이익, 즉 기부행위 ..

Date 2016.07.20  by 황정근

[미국대법원 판결] 총인구 기준 선거구는 합헌이다.

친구공개 나만보기 편한친구공개 질문자관심글로 저장하기`유권자 수`(voter-population)가 아니라 `전체 인구 수`(total-population numbers)를 기준으로 선거구를 획정하는 것이 1인 1표 원칙에 위반되지 않는다는 미국 연방대법원 판결이 2016년 4월 4일에 선고되었습니다.우리나라도 유권자수가 아니라 인구를 기준으로 선거구를 획정합니다.참고로, 미국 하원의원 선거구 인구편차 허용범..

Date 2016.04.29  by 황정근

[칼럼] 좋은 후보, 나쁜 후보 - 정치인은 미래설계사 (문화일보 2016년 3월 31일자 기고문)

좋은 후보, 나쁜 후보변호사 황정근 이번 총선에서 누구를 선택할 것인가. 대답은 다양할 것이다. 선호하는 정당을 보고 이미 선택한 경우도 있고, 특정 지역에는 당내경선이 본선이나 진배없어 본선에서는 달리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경우도 있다. 어느 후보자가 마음에 들어 이미 마음을 정한 경우도 있고, 투표할 만한 후보자가 도무지 없어 투표장에 아예 가지 않겠다고 하..

Date 2016.03.31  by 황정근

제20대 총선 공천과 선거법

http://www.황정근.com/ab-lawyer_column_v-36

Date 2016.03.25  by 황정근

[정당법 판례해설] 정당원이 공무원이 되면서 탈당하지 않은 경우 처벌할 수 있는가

[판례해설]정당의 당원이 군인 신분 취득시점에 탈당하지 않은 경우, 정당법 및 국가공부원법 위반죄가 성립하는지 여부(소극)- 대법원 2016. 2. 18. 선고 2013도3346 판결 황정근 변호사   피고인 배모 대위는 2007년 민주노동당에 가입한 정당원이었는데 2008년 육군장교로 임관하면서 탈당을 하지 않았다. 검찰관은 피고인이 군인 신분 취득시점에 탈당하지 아니한 부작위가 군..

Date 2016.03.09  by 황정근

교육감은 정치인이 아니다 - 대법원판결

대법원 2016. 1. 14. 선고 2014도3112 판결[업무상횡령·업무상배임·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뇌물)·뇌물수수·정치자금법위반·뇌물공여][공2016상,309] 【판시사항】교육감, 교육감선거 후보자 또는 후보자가 되려고 하는 사람이 정치자금법 제3조 제1호에서 정한 ‘공직선거에 의하여 당선된 자, 공직선거의 후보자 또는 후보자가 되고자 하는 자 또는 ..

Date 2016.03.03  by 황정근

양당 체제를 옹호하기 위한 선거법의 규제, 철폐해야 - 박민

현재의 양당 구도가 정착된 데는 1958년 도입된 선거법이 일등공신 역할을 했다. 1934년 개정된 제국주의 일본의 보통선거법을 모방한 당시 선거법의 핵심은 선거운동기간과 선거운동원과 선거운동 방법을 제한하는 것이다. 1956년 5월 대선에서 216만 표를 얻은 조봉암 후보가 그해 11월 진보당을 결성하자 이승만 대통령과 야당은 제3세력의 등장에 불편함을 느끼고 신진세력의 정..

Date 2016.02.22  by 황정근

사전선거운동죄 외국 입법례

1. 개관영국, 미국, 독일, 캐나다, 벨기에, 핀란드, 덴마크, 스웨덴, 오스트리아 등 대부분의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선거운동기간에 대한 규제가 없고,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선거운동 방법에 대해서도 규제하지 않으며, 다만 총선거비용 통제를 통하여 선거공정성을 확보하고 있다. 선거운동기간에 대하여 제한을 두는 국가는 유럽에서는 예외적으로 프랑스가 있으며, 그밖에..

Date 2016.02.19  by 황정근

선거구 공백 사태를 우려한다

선거구 공백 사태를 우려한다                                                 변호사 황정근  지난 11월 13일은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가 선거구 획정안을 국회의장에게 보내야 하는 법적 시한이었으..

Date 2015.12.16  by 황정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