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선거법] 권선택대전시장 선거법 사건 상고이유서(서론부분)

상고이유 개진에 앞서


결론부터 말씀 드리면, 정치인의 통상적인 사단법인 설립 및 그 활동이 공직선거법상 유사기관 설치 금지 위반으로 인한 부정선거운동죄 내지 사전선거운동죄로, 그 사단법인의 회비 수령이 정치자금법상 정치자금부정수수죄로 평가되어서는 안 됩니다.

 

공직선거법 제58조 제1항은 선거운동을 공직선거에서 당선되거나 되게 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행위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물론 공직선거법에서 선거운동에 해당되지 않는 행위를 규정하고 있고, 판례를 통하여 어느 정도 범위를 제시하고 있으나 여전히 사단법인 활동의 어디까지가 사전선거운동에 해당하는지 명확한 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더욱이 대부분의 국민들은 정치인의 모든 행동은 자신의 당선을 위한 것이다라고 생각합니다. 정치인이 시장에서 장을 보는 것은 서민적인 이미지를 강조하기 위함이고, 사회봉사를 하는 것은 자상한 이미지를 강조하기 위함이며, 포럼이나 연구활동을 하는 것은 전문적인 이미지를 강조하기 위함이라고 생각할 것입니다. 국민들이 갖는 정치인에 대한 일종의 선입견입니다. 물론 이러한 선입견이 근거가 없는 것은 아니고 전혀 틀린 것도 아닙니다.

 

그러나 이는 일반 국민의 선입견으로 그쳐야 합니다. 정치인의 사단법인 설립이 어느 경우에 공직선거법상 유사기관 설치·설립에 해당하는지, 설립한 사단법인의 통상적인 활동이 어디까지가 사전선거운동에 해당하는지 명확한 기준을 제시해야 할 때가 되었습니다. 그래야만이 정치인과 관계된 사단법인은 그 기준을 준수하며 통상적인 활동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금까지 정치인들이 연구소나 포럼 혹은 재단·사단법인 등의 각종 단체·조직을 설립하거나 가입하여 활동하는 것은 흔히 있어 왔습니다. 박성효 전 대전광역시장은 사단법인 희망대전연구원을 설립하여 활동하였고, 염홍철 전 대전광역시장 역시 사단법인 미래도시공동체연구원을 설립하여 활동하여 왔습니다. 심지어 대선 후보였던 손학규 전 국회의원 역시 동아시아 미래재단의 상임고문으로 활동하였습니다. 이 밖에도 많은 정치인들이 사단법인 등 각종 단체에서 활동하여 왔습니다.

 

그러나 이들 정치인들이 공직선거법 제255조 제1항 제13·89조 제1항 본문에 정한 유사기관 설치 금지 위반으로 인한 부정선거운동죄, 공직선거법 제254조 제2항에 정한 사전선거운동죄 및 정치자금법 제45조 제1항 본문에 정한 정치자금부정수수죄로 기소된 적이 없습니다. 이 사건은 정치인의 통상적인 사단법인 활동을 공직선거법 및 정치자금법 위반이라고 하여 기소한 보기 드문 사건입니다.

 

본 변호인은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상고이유서에서 주장하는 여러 쟁점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세워주실 것을 간곡히 앙청 드리는 바입니다.

 

2014년 대법원 전체 사건 37,652건 중 전원합의사건은 14건에 불과합니다. 2012년에는 28건이었으나 최근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 사건은 현역 대전광역시장의 당선무효 여부가 걸려 있는 중요 사건입니다. 그 법적 쟁점도 다양합니다. 국민의 이목이 집중되어 있고 사회적 영향력 및 파급력이 큰 사건이기도 하고, 향후 유사한 사건에서 대법원이 통일된 법령해석의 가이드라인을 설정해주어야 할 사건이라고 생각합니다. 국민의 권익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건에 대해 시대정신에 맞는 새로운 법리를 선언함으로써 국민생활의 규범적 방향을 미래지향적으로 설정해주고 나아가 경제주체들에게 예측가능한 정치·경제 활동의 가이드라인을 분명하게 해주는 것이야말로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해야 할 역할의 본령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사건의 사회적 비중과 중요성 및 선례적 가치를 감안하시어 사건을 조기에 전원합의체에 회부하여 주시기를 앙망합니다.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황정근

등록일2016-08-27

조회수2,016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공무원의 선거관여 금지 위반죄

● ‘공무원의 선거관여 금지’ 위반죄공직선거법 제9조 제1항은 ‘공무원 기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 하는 자(기관·단체를 포함한다)는 선거에 대한 부당한 영향력의 행사 기타 선거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전에 노무현 대통령이 총선을 앞두고 열린우리당 지지발언을 한 것이 이에 해당한다(헌재 2004헌나1 결정). 그런데 당시에..

Date 2022.02.11  by 황정근

당내경선을 대체하는 100% 여론조사가 공직선거법 제57조의3 제1항의 ‘정당이 당원과 당원..

● 당내경선을 대체하는 100% 여론조사가 공직선거법 제57조의3 제1항의 ‘정당이 당원과 당원이 아닌 자에게 투표권을 부여하여 실시하는 당내경선’에 해당되는지 여부   공직선거법 제57조의3 제1항은 ‘정당이 <당원과 당원이 아닌 자에게 투표권을 부여하여 실시하는 당내경선>에서는 제1∼3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 외의 방법으로 경선운동을 할 수 없다’..

Date 2021.10.06  by 황정근

'후보자가 되고자 하는 자'는 합헌 - 헌재 2021. 8. 31. 2018헌바149 결정

●공직선거법의 <후보자가 되고자 하는 자>는 합헌 - 헌재 2021. 8. 31. 2018헌바149 결정 공직선거법 제257조 제1항·제113조의 기부행위제한위반죄에서 <후보자가 되고자 하는 자> 부분은 그 의미내용이 불명확하여 명확성원칙에 위반된다고 주장하여 헌법소원을 청구하였다가 기각되었다(헌재 2021. 8. 31. 2018헌바149). 2018년 3월 8일에 헌법소원을 청구하였는데, 3년이 지나 결..

Date 2021.09.04  by 황정근

● 으뜸국가, 동행정부

● 으뜸국가, 동행정부  - 국가목표는 <으뜸국가>, 정부 이름은 <동행정부>, 국정목표는 ‘감동의 정치’ ‘활기찬 경제’ ‘편안한 사회’    과거만 자꾸 파고 미래가 없어서는 안 된다. 대선은 ‘회고와 심판’ 투표라기보다는 ‘미래와 전망’ 투표가 우선이다. 차기에 누가 집권하든 대한민국의 국..

Date 2021.07.27  by 황정근

김경수 경남지사 공직선거법위반 사건

● 공직선거법 제230조 제1항 제4호, 제135조 제3항 소정의 ‘선거운동과 관련하여’에서 후보자의 특정이 필요한지 여부(소극)-대법원 2021. 7. 21. 선고 2020도16062 판결   “공직선거법 제230조 제1항 제4호, 제135조 제3항 위반죄는 금품 기타 이익의 제공, 그 제공의 의사표시 및 약속(이하 ‘이익의 제공 등’이라고 한다)이 특정 선거에서의 선거운동과 관련되어 있음이 인정되..

Date 2021.07.22  by 황정근

● 당내경선 선거권자에게 금품을 제공한 경우, 기부행위에도 해당하는지 여부

● 당내경선 선거권자에게 금품을 제공한 경우, 기부행위에도 해당하는지 여부- 대법원 2021. 6. 24. 선고 2019도13234 판결(적극)당내경선 선거권자에게 금품을 제공한 경우, 공직선거법 제230조 제7항 제1호·제57조의5 제1항의 당내경선 매수죄 외에, 공직선거법 제257조 제1항의 기부행위제한위반죄에도 해당한다는 대법원판결이 선고되었다.- 공직선거법 제115조 전문은 `제113조(후보..

Date 2021.06.28  by 황정근

말과 전화로 하는 경선운동에 대해 면소 판결

● <말과 전화로 하는 경선운동>에 대해 면소 판결   - 전주지방법원 2021. 6. 16. 선고 2020고합202, 211(병합) 판결; 서울서부지방법원 2021. 6. 16. 선고 2020고합224 판결   2020년 12월 29일 개정 공직선거법에 따라 전화나 말로 사전선거운동을 하는 행위는 공직선거법위반죄에 해당하지 않게 되었다. 이제는 말과 전화로 하는 지지호소는 상시 허용되는 선거운동방법이 ..

Date 2021.06.23  by 황정근

공직선거법 제57조의3 제1항 소정의 ‘당원과 당원이 아닌 자에게 투표권을 부여하여 실시..

○ 경선운동방법위반죄에서 공직선거법 제57조의3 제1항 소정의 ‘당원과 당원이 아닌 자에게 투표권을 부여하여 실시하는 당내경선’에 ‘당내경선을 대체하는 100% 여론조사’가 포함되는지 여부   공직선거법 제57조의3(당내경선운동) ① 정당이 당원과 당원이 아닌 자에게 투표권을 부여하여 실시하는 당내경선에서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 외의 방..

Date 2021.06.09  by 황정근

위탁선거법 제24조 의 ‘후보자가 아닌 자의 선거운동’의 개념

위탁선거법 제24조 의 ‘후보자가 아닌 자의 선거운동’의 개념(대법원 2021. 4. 29. 선고 2019도14338 판결)   위탁선거법 제24조 제1항은 `후보자가 제25조부터 제30조의2까지의 규정에 따라 선거운동을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누구든지 어떠한 방법으로도 선거운동을 할 수 없다`라고 규정하고 있고, 제66조 제1호는 `제24조를 위반하여 후보자가 아닌 자가 선거운동을 한 경우 2년..

Date 2021.05.04  by 황정근

● 대법원 2021. 4. 29. 선고 2020수6304 판결

● 대법원 2021. 4. 29. 선고 2020수6304 판결 <정당에 가입할 수 없는 국가공무원이 공직사직기한 내에 사직원을 제출했으나 중징계 절차 중이어서 법률상 사직원 수리가 불가능하여 사직수리 되지 아니한 채 정당에 가입하고 공천을 받아 국회의원에 당선된 경우, 당선무효인지 여부>가 쟁점인 사건에서, 대법원(주심 김선수 대법관)이 최초의 판결을 내놓았다. 요컨대 <소..

Date 2021.04.29  by 황정근